본문 바로가기
요양병원 규정집

환경 관리

by SDMzz 2023. 10. 15.
반응형

▣ 목적 (Purpose)
청결한 환경의 유지는 감염관리에서 중요하고 기본적인 요소이며,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환경 소독을 통해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은 의료 관련 감염을 감소시키는데 필수적이다. 의료 관련 감염 발생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치료실 및 병동의 청소 및 소독을 적절하게 시행하고, 환경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 지침 및 절차 (Guidelines & Process) 
1. 치료실, 병동의 청소 및 소독 
1.1. 청소 및 소독 구역
1.1.1. 청소 구역 : 일상적인 환경으로 병실, 환자 휴게실, 복도, 화장실 등
2) 소독이 필요한 구역 : 격리 및 보호 격리 환자의 병실

나. 청소 시 주의 사항
 1) 청소도구는 사용장소와 용도에 따라 색상을 구분하거나 라벨을 부착하여 구분해서 사용하고 보관한다. 사용한 청소도구(걸레, 대걸레 포함)는 세탁 후 환경 소독제를 사용하여 소독하고 건조된 상태로 보관한다.      
 2) 청소의 순서는 가장 적게 오염된 구역에서 시작하여 가장 오염이 심한 구역으로 높은 곳에서 낮은 표면으로 넓은 면적에서 좁은 면적으로 시행된다.      
  3) 청소 시 표준주의를 준수하며, 격리병실 청소 시에는 격리 표식에 제시된 개인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격리병실 전용 청소도구를 사용한다.      
  4) 병원 내의 모든 청소는 공기와 먼지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진행한다.      
  5) 혈액이나 체액이 묻은 곳은 반드시 환경 소독제를 이용하여 즉시 청소한다.      
  6) 환자 병실을 청소 전과 청소 후 매번 손 위생을 실시하며, 사용한 장갑을 착용하고 환경을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7) 환자치료 영역에 연무 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거나 먼지를 분산시키는 청소나 소독 방법은 피한다.  

 다. 소독 시 주의 사항
1) 환경 소독제는 공인된 기관의 허가를 받은 제품을 사용한다.      
2) 환경 소독제는 재 보충하지 않으며, 환경 소독제 용기는 재사용하지 않는다. 만약 용기를 재사용하는 경우 세척 후 소독 혹은 멸균하여 사용한다.      
3) 개봉한 환경 소독제는 오염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보관 기준 및 사용 방법은 정해진 기준에 따른다.      
4) 제품의 사용 설명서를 확인하여 환경 소독제 농도, 적용 시간, 유효기간 등을 준수한다.     

5) 넓은 환경의 표면을 소독하기 위해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다.      
6) 청소나 환경 소독직원은 청소나 환경 소독 시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라. 청소 및 소독 주기
1) 구역별 청소/소독 주기 
가) 병실 바닥
1.1.1.1.1. 1일 1회 이상 청소한다.
1.1.1.1.2. 대걸레는 다른 장소와 분리하여 병실용으로 사용하며 사용 후 희석된 소독액에 침적 후 헹구어 재사용한다.
1.1.1.1.3. 원내 바닥은 락스희석액을 묻혀 청소한다. 
1.1.1.1.4. 소독액이나 세정액은 필요시 준비하고, 청소 용액은 병실 3개당, 적어도 60분 이내 것으로 교환한다.  
나) 화장실
(1) 1일 1회 이상 청소하며 변기와 세면기 청소를 포함한다.
(2) 변기는 눈에 보이는 오염이 있으면 즉시 환경 소독제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3) 화장실에 사용한 청소도구는 다른 장소를 청소하는 도구들과 분리하여 사용한다.
다) 세면대, 샤워실
  (1) 매일 청소하며 항상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2) 격리 환자가 사용한 경우 제일 마지막에 사용 후 소독제를 이용하여 청소한다. 
라) 쓰레기통
  (1) 일반쓰레기통은 병실마다 있어야 한다. 
  (2) 일정량이 모이면 곧바로 버리며, 하루에 최소한 1회 이상은 비운다.
  (3) 쓰레기통은 2/3 이상 넘지 않도록 한다.
마) 치료실, 병동의 표면
  (1) 문손잡이, 전등 스위치, 침상 난간, 병실 내 화장실 주변의 표면, 가구의 표면 등
  (2) 1일 1회 이상 청소한다.
  (3) 소독제를 묻힌 걸레를 사용하거나, 소독 티슈를 사용한다.
바) 창문
  (1) 창문과 창틀은 주 1회 이상, 걸레를 사용하여 깨끗이 닦는다.
사) 벽, 블라인드, 환자 간 커튼
  (1) 커튼의 경우 반기별 세탁을 의뢰하며 오염이 보이는 경우 즉시 의뢰한다.
  (2) 벽과 블라인드는 오염 시 소독제를 이용하여 닦는다.
아) 침대 및 침구류
  (1) 침대 및 매트리스의 혈액이나 체액이 묻은 경우는 소독제를 이용하여 닦는다.
  (2) 환자가 퇴원할 경우 매트리스는 소독제로 소독한다.
  (3) 침구류는 환자마다 교체하며 오염되거나 환자 요청 시 교체한다.
자) 퇴원 병상 청소
  (1) 병상 주변의 모든 물품(매트리스, 침대, 가구, 테이블 등)을 소독제로 닦는다.
  (2) 소독제는 표면이 충분히 적실 수 있도록 행주에 묻혀 닦거나 소독 티슈로 닦는다.
차) 싱크대 관리
  (1) 싱크대 아래에는 종이류, 청결 물품, 멸균 물품 등을 보관하지 않으며, 배선 관이 있는 싱크대 아래 장은 완전히 비운다.
  (2) 싱크대는 사용 후 닦으며 1일 1회 이상 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한다.
2) 감염 환자 격리 종료 시 청소 
가) 격리실은 환자 재원기간 동안 매일 소독하며, 직원은 격리유형에 따른 보호구를 착용하고 청소한다.
나) 격리실에서 사용되었던 물건과 폐기물은 감염성폐기물로 간주하여 분리수거한다.
다) 격리실에서 사용되었던 세탁물은 오염세탁물로 간주하여 비닐봉지에 넣어 ‘감염’으로 표기 후 오염 햄퍼에 넣는다.
라) 격리실 환자에게 사용한 기구는 소독제 침적 후 세척한다.
마) 공기매개 감염성 질환자가 사용한 병실은 방문을 닫아 놓은 상태에서 외부로 난 창문을 열어 4시간 이상 환기 후 직원은 N95 마스크를 착용하고 청소한다.

2. 청소 용구 관리
가. 청소 용구 종류별 관리
1) 걸레
가) 대걸레와 걸레는 사용 후 세탁 및 소독, 건조하여 재사용한다.
나) 대걸레는 구역별(병실용, 화장실용, 복도용, 소독실용, 조리장용)로 지정하여 사용하며, 세정부터 건조, 사용, 보관 시 혼용하지 않도록 한다.
다) 세척하여 사용할 수 없는 부서에서는 일회용 행주를 사용하도록 한다.
라) 소독된 대걸레는 별도의 장소에 건조가 가능한 상태로 보관한다.
마) 오염된 청소 용구는 바로 교환 또는 소독한다.
2) 장갑
가) 일회용 비닐장갑, 고무장갑, 일회용 라텍스 장갑 등이 있으며, 용도별로 지정하여 사용한다.
나) 일회용 장갑은 사용 후 폐기하며, 고무장갑은 사용 후 세척 및 소독, 건조하여 사용한다.
다) 청소 시 면장갑은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3) 각종 솔, 보관 용기, 걸레 세척 용기 등
가) 사용 후 소독 및 건조하여 보관한다.
나) 솔 및 수세미는 일회용 또는 세척, 건조가 용이한 것을 사용한다.
다) 재사용 솔 및 수세미의 경우 싱크대 또는 세면대 위에 걸어서 건조한다. 
라) 보관 용기 등은 사용 후 세척하고 건조하게 보관되도록 한다.
마) 싱크대 및 세척 구역은 사용 후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하게 유지한다. 

3. 청소 및 소독 직원의 개인 보호장구 착용
가. 청소 시 표준주의를 준수하며 직원의 보호를 위해 필요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나. 사용한 장갑을 끼고 다른 환경을 접촉하지 않도록 하며 사용 후 즉시 제거하고 손 위생을 시행한다.

다. 격리병실 입실 시 병실 앞의 격리 표식에 있는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1) 공기 주의 : N95 마스크
2) 비말주의 : 외과용마스크
3) 접촉주의 : 장갑, 가운
4) 보호 격리 : 외과용마스크. 가운

반응형

'요양병원 규정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리적인 의사결정  (0) 2023.10.23
급식 서비스 감염 관리  (0) 2023.10.22
세탁물 관리  (0) 2023.10.14
의료기구의 세척 및 소독, 멸균 관리 규정  (0) 2023.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