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55

의료사회 복지체계 의료사회복지체계를 수립하여 저소득층, 취약계층, 노인 환자 등을 대상으로 진료비용 및 의료지원 의 필요성을 상담하고 지원함으로써 의료 윤리경영을 실현하기 위함이다. ▪ 의료사회복지체계 :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진료와 관련된 제반 문제에 대하여 전문적인 상담을 통해 조정ㆍ해결하여 나감과 동시에 의료진과 협의를 통해 전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원조하는 의료사회사업 서비스 시스템 ▪ 의료사회사업 :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리·사회적, 경제적, 퇴원 문제, 재활 문제 등에 대해서 의료 사회복지사가 환자와 그 가족이 처한 문제를 원만히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적인 과 정 ▪ 심리ㆍ사회적 상담 : 질병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치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돕고, 가족 간 발생하는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 2023. 10. 4.
불만 고충 처리 환자 또는 보호자의 문제, 불만, 고충 사항을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립하고 진료과정 중에 발생 하는 불만 및 고충 사항을 체계적으로 접수하여 신속히 해결하기 위함이다. 1. 불만 및 고충 처리 담당 부서 또는 담당 직원 가. 담당 부서 : 사회복지실 나. 담당자 : 사회복지사 2. 불만 및 고충 접수 및 회신 절차 가. 불만 및 고충 접수 내용 검토 1) 방문 접수 및 전화민원을 받은 부서는 불만 고충 처리 담당자(사회복지사)에게 접수 내용을 구두 (유선 통화) 혹은 서면으로 전달한다. 2) 고객 소리함으로 접수된 내용은 매일 불만 고충 처리 담당자가 확인한다. 3) Fax 및 우편으로 접수된 내용은 매일 원무부에서 확인하고 불만 고충 처리 담당자에게 전달한다 . 나. 불만 및 고충 사항 처리 및 회신.. 2023. 10. 3.
환자 권리 존중 환자의 권리와 책임을 정하고 알림으로써 환자가 진료를 받는 모든 과정에서 환자의 권리와 책임을 존중하고 보호하기 위함이다. ▪ 환자 권리 : 본인의 질병에 대한 설명을 들을 권리, 본인이 받게 되는 치료, 검사, 수술, 입원 등의 의료행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시행 여부를 선택할 권리, 계획된 진료를 받지 않거나 진료가 시작된 이후 이를 중단하거나, 대안적 진료에 대한 설명을 들을 권리 ▪ 환자 의무 : 치료계획 준수, 치료계획 불응 시 발생한 결과에 대한 의무, 진료를 받지 않거나 중단에 따른 결과와 의무, 원내 규정 준수, 의료기관 직원 및 다른 환자에 대한 존중, 의료기관과 체 결된 재정적 의무에 대한 의무 1. 환자의 권리 가. 진료 받을 권리 환자는 자신의 건강 보호와 증진을 위하여 적절한 보건의.. 2023. 10. 2.
의약품 투여 및 모니터링 ▣ 목적 (Purpose) 안전한 의약품 투여를 위해 직원 교육, 투약 설명, 의약품의 보관, 주의 사항 및 부작용 발생 시 대처방안을 수립하여 안전하게 투약하기 위함이다. ▣ 용어의 정의 (Definition) ▪ 투약 설명 : 환자의 의약품 치료에 필요한 의약품에 대하여 기본정보( 의약품명, 용법, 용량, 효능 및 효과, 이상 반응, 의약품 상호작용 등)를 제공하는 것 ▣ 지침 및 절차 (Guidlines & Process) 1. 의약품 투여 직원의 자격 의약품 투여는 의사 또는 간호인력이 투여 한다. 2. 안전한 의약품 투여 과정 가. 모든 투여는 의사의 처방에 따른다. 나. 투약 준비 1) 의사처방과 의약품 간 환자 정보 및 투약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한다. 2) 의약품 포장지에 라벨링 된 환자 이.. 2023. 9. 24.
의약품 처방 및 조제 ▣ 목적 (Purpose) 관련법을 준수하여 정확하고 안전하게 처방하고, 청결하게 조제하여 처방 및 조제 과정의 오류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 용어의 정의(Definition) ▪ 조제 : 일정한 처방에 따라서 두 가지 이상의 의약품을 배합하거나 한 가지 의약품을 그대로 일정한 분량으로 나누어서 특정한 용법에 따라 특정인의 특정된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약제를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 지침 및 절차(Guidlines & Process) 1. 의약품의 안전한 처방 가. 처방 및 처방전 발행 자격 요건 의료법 제18조에 의거하여, 병원에 근무하는 의사 또는 한의사(한약에 한함) 나. 처방 및 처방전의 구성 요소 1) 처방 일자와 시간 2) 약품명(상품명으로 기록) 3) .. 2023. 9. 23.
의약품 보관 ▣ 목적 (Purpose) 환자의 필요에 맞게 효율적으로 의약품을 관리하고, 약제부서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의 모든 장소에서 의약품을 적절하고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함이다. ▣ 용어의 정의(Definition) ▪ 실온 보관 : 1~30℃ ▪ 냉장 보관 : 2~8℃ ▪ 상온 보관 : 15~25℃ ▪ 냉소 보관 : 15℃ 이하 ▪ 주의를 요하는 의약품 : 냉장 보관이 필요한 의약품, 차광이 필요한 의약품 ▪ 혼동하기 쉬운 의약품 : 유사 발음, 유사 외관 등 투약 오류 가능성이 높은 의약품 ▪ 고위험군 의약품 : 처방, 조제 및 투약 오류에 의해 환자에게 치명적인 위해를 줄 수 있거나 잠재적으로 높은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의약품 또는 치료력이 좁아 부작용이 발현될 위험이 큰 의약품 등 ▪ 비치 의약품 .. 2023. 9. 22.
신체 보호대 관리 ▣ 목적 [Purpose] 신체 보호대 사용을 최소화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환자의 권리 존중 및 안전을 위하여 일관된 규정을 수립하고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함이다. ▣ 용어의 정의 [Definition] ● 신체 보호대 : 상해로부터 본인이나 다른 사람을 보호하기 위하여 환자의 전신 혹은 일부분의 움직임을 제한할 때 사용되는 수동적 방법이나 물리적 장치 및 기구를 의미한다. JCAHO(joint co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 care organization 1992) ▣ 지침 및 절차 [Guidelines & Process] 1. 신체 보호대 사용 대상 신체 보호를 하지 않는 경우 자신이나 타인의 안위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환자 가. 자해 및 타인에게 손상을 입.. 2023. 9. 20.
수혈 환자 관리 ▣ 목적 [Purpose] 수혈 환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불출 후 적정시간 내 수혈 및 수혈 환자의 주의 관찰 수행 여부 등을 적절하게 관찰한다. ▣ 용어의 정의 [Definition] ● 수혈 : 외상이나 수술로 인한 다량의 실혈, 용혈성질환과 같이 혈액의 성분을 파괴하는 질환과 백혈병이나 혈우병과 같이 혈액 내 필요한 성분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 등 여러 이유로 다른 사람의 혈액을 받는 치료 ● 성분수혈 : 전혈에서 분리한 적혈구, 혈소판, 혈장 등의 혈액 성분을 수혈하는 것 ▣ 지침 및 절차 [Guidelines & Process] 1. 수혈 동의 가. 의사는 환자 혹은 보호자(법정대리인)에게 수혈의 필요성 등에 관해 설명 후 ‘수혈동의서’[부록1]을 받는다. 나. 긴급하게 수혈을 진행할 경우.. 2023.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