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55

인사 관리 ▣ 목적 (Purpose) 병원의 미션과 비전을 달성하고 최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사기준을 확립하여 합리적이고 공정한 인사 관리체계를 운영하기 위함이다. ▣ 지침 및 절차 (Guidelines & Process) 1. 인사정보 체계 병원의 사명, 환자 구성 및 중증도, 의료서비스의 종류 및 기술을 고려하여 적절한 자격을 갖춘 인력을 확보한다. 인사관리 업무는 인사 담당 실무부서(원무부)에서 주관한다. 가. 직원모집 및 선발 1) 직원모집의 종류 : 공개채용/특별채용 2) 본원은 결원 발생 시 수시 채용함을 원칙으로 하며 채용은 공개 전형에 의함을 원칙으로 한다. 3) 의사와 간호인력 및 필수인력에 대한 채용 정원 기준은 의료법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인력 산정기준에 따른다. 4) 직원모집의 원칙 .. 2023. 10. 30.
의료기관 운영 방침 ▣ 목적 (Purpose) 병원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조직의 미션을 결정하며, 미션을 전 직원이 공유할 수 있도록 공포 함으로써, 미션을 달성하기 위한 활동을 통해 병원의 발전 및 운영 방침에 동참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 ▣ 용어의 정의 (Definition) ▪ 미션 : 조직의 존재 이유와 목적. 구성원이 수행하고 있는 업의 의미와 존재가치를 밝히는 것 ▪ 비전 : 조직의 미래에 대한 윤곽을 제시하는 것으로 위로는 미션과 아래로는 전략과의 연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핵심 가치 : 조직의 미션이나 비전 성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식이나 구성원들의 행동 방식에 대한 규범 ▣ 지침 및 절차 (Guidelines & Process) 1. 미션의 제정 가. 미션과 비전의 결정은 지역사회 특성을.. 2023. 10. 29.
합리적인 의사결정 ▣ 목적 (Purpose) 병원장은 의사결정 조직을 구성하고 정기적으로 운영함으로써 합리적인 의사결정 및 병원발전에 기여한다. ▣ 용어의 정의 (Definition) ▪ 규정 : 정관 및 법령에 준거하여 병원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조직과 직원의 권리, 의무 및 업무의 관리 운영에 관한 “기본적인 방침 기준” 등을 정한 것을 말한다. ▪ 규칙(내규) : 규정에서 위임된 사항과 필요한 세부 사항 또는 각 부문 업무의 기준 및 절차 등을 정한 것을 말한다. ▪ 내규 : 규정과 규칙에서 위임된 사항과 사항에 필요한 업무처리 방법, 절차 등을 정한 것을 말한다. ▪ 지침 : 부분적인 업무 취급에 관한 세부 사항 등을 정한 것을 말한다. ▣ 지침 및 절차 (Guidelines & Process) 1. 의사결정 .. 2023. 10. 23.
급식 서비스 감염 관리 ▣ 목적 (Purpose) 조리장 관리를 철저히 함으로써 환자 식이와 관련되는 감염을 예방하고, 안전하고 위생적인 방법으로 환자에게 최적의 영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용어의 정의 (Definition) • 식재료 관리 : 음식이 조리, 생산되어 제공되기까지의 급식업무에 가장 기초가 되는 업무로서, 이와 관련된 식품 재료의 제반 관리업무 즉, 구매(purchasing), 검수(receiving), 저장(storing), 재고(inventory), 원가관리 등의 업무가 포함된다. • 교차오염(Cross Contamination) : 오염되지 않은 식재료나 음식이 오염된 식재료, 기구, 종사자와의 접촉으로 인해 미생물이 혼입되는 것을 말한다. • 일반(오염)구역 : 식품 검수 구역, 전처리 구역, .. 2023. 10. 22.
환경 관리 ▣ 목적 (Purpose) 청결한 환경의 유지는 감염관리에서 중요하고 기본적인 요소이며,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환경 소독을 통해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은 의료 관련 감염을 감소시키는데 필수적이다. 의료 관련 감염 발생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치료실 및 병동의 청소 및 소독을 적절하게 시행하고, 환경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 지침 및 절차 (Guidelines & Process) 1. 치료실, 병동의 청소 및 소독 1.1. 청소 및 소독 구역 1.1.1. 청소 구역 : 일상적인 환경으로 병실, 환자 휴게실, 복도, 화장실 등 2) 소독이 필요한 구역 : 격리 및 보호 격리 환자의 병실 나. 청소 시 주의 사항 1) 청소도구는 사용장소와 용도에 따라 색상을 구분하거나 라벨을 부착하여 구분해서 사용하고 보관.. 2023. 10. 15.
세탁물 관리 ▣ 목적 (Purpose) 병원에서 발생하는 모든 직물과 세탁물 관리 및 처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이를 시행함으로써 감염의 전파를 방지하고 감염으로부터 환자 및 직원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 용어의 정의 (Definition) 의료기관 세탁물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자와 진료받는 환자가 사용하는 것으로서 세탁 과정을 거쳐 재사용할 수 있는 세탁물을 말한다. 가. 침구류 : 이불, 담요, 시트, 베개, 베갯잇 등 나. 의류 : 환자복, 가운 등 다. 린넨류 : 소독포, 기계포, 마스크, 모자, 수건, 그 밖의 린넨류 라. 기타 : 커튼, 씌우개류, 수거 자루 등 오염 세탁물 의료기관 세탁물 중에서 감염성 물질에 오염되었거나 오염될 우려가 있는 세탁물 가. 감염병환자가 사용한 세탁물과 감염성 병원균.. 2023. 10. 14.
의료기구의 세척 및 소독, 멸균 관리 규정 ▣ 목적 (Purpose) 의료기구 및 물품의 적절한 세척, 소독 멸균에 관한 사항을 정하고, 절차에 따라 의료기구 및 물품의 올바른 세척, 소독, 멸균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의료 관련 감염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 용어의 정의 (Definition) 1. 세척(Cleaning): 대상물로부터 토양, 유기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물, 기계적 마찰, 세제, 효소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소독과 멸균의 전 단계로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전한 소독과 멸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적절한 세척으로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여야 한다. 2. 소독(Disinfection): 무생물체 표면에 붙어있는 세균의 아포를 제외한 대부분 또는 모든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습식.. 2023. 10. 13.
기구 관련 감염관리 ▣ 목적(Purpose) 적절한 기구 관련 감염관리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의료 관련 감염 발생의 위험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 용어의 정의 (Definition) ▪ 기구 관련 감염관리 : 기도 흡인, 호흡 장비, 방광 내 유치 도뇨관, 말초혈관 및 중심정맥관 주사, 일회용 주사기 등을 포함한 의료기구 관련 감염관리를 말한다. ▣ 지침 및 절차 (Guidlines & Process) 모든 환자는 표준주의를 적용하여 수행한다. 1. 호흡기 치료 기구 관련 감염관리 가. 표준주의 흡인 전·후 손 위생을 시행한다. 나. 삽입 및 절개 부위 확인 1) 기관절개관 삽입 및 절개 부위 관리 전·후 손 위생을 실시한다. 2) 기관절개관 삽입 및 절개 부위를 확인하고 1회/일 소독하고 분비물이 많거나 젖으면 .. 2023. 10. 12.